- 영문명
-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ocial Teaching on the Social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복영(Shon, Bok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3호, 245~2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사회 교과교육학지식, 사회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 교수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사회과목 이수여부, 사회교육 연수경험, 사회교육 장학경험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사회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살펴본 결과, 전체 사회 교수효능감의 경우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 사회교육 연수경험이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결과기 대감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 경력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고, 개인효능감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사회 교과교육학지식 총점이 가장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다. 유아교사의 사회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 교과교육학지식의 발달을 위한 교육과정이 포함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on social teaching efficacy and to analyze differ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social teaching efficacy. To do so, this study surveyed 271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ocial teaching and social teaching efficacy. In assessing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hoc tes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factors such as a teacher’s age, education, career, completion of sociology subjects, training experience in social education and scholarship experience in social educ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teaching efficacy. Moreover, the study of predictive variables that affect social teaching efficacy revealed that teaching method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 career were meaningful variables in connection with outcome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variables like teaching method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 tota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ocial teaching tende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In case of the influence on the social teaching efficacy in general, only teaching method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and training experience in social education had positive influ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ocial teaching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