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thematical communication appearing in math class storytel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천지혜(Chun, Ji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3호, 125~1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국문 초록
‘수학 스토리텔링’에서 사용 되는 ‘스토리텔링’이라는 용어가 수학적 의사소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스토리텔링’ 학습의 근본적인 유의미성을 확인하는 이전의 연구들은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스토리텔링 학습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수학 스토리텔링이 갖는 본질적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지수 로그 함수를 주제로 한 스토리텔링 수업이 진행되는 고등학교 수학 교실에서의 현장 관찰, 인터뷰, 문헌 검토 등의 자료 수집과 분석을 정성연구 하였으며, 교사와 학생 각각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진행 된 스토리텔링 수업에서는 담화적요소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와 학생 모두가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하고 스토리텔링 학습이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습의 기회들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term of storytelling which is used in the math storytell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it has been insufficient to confirm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this storytelling learn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ntrinsic meaning of math storytelling by specifically investigat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occurred in the math storytelling learning. For this study, the observation of the Quotes logarithm function-themed math storytelling class was performed, then the interview,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review were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of each teacher and student, and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 of this current study was that the discourse factors have been founded in the storytelling class. As such, it is assume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ve insufficient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y have little opportunities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storytelling.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