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숙(Kim, Hyun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3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심리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진로장벽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P시에 소재한 2곳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진로장벽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군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장벽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부적으로 유의미 한 관계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독립변인으로 진로장벽 하위요인군과 종속변인인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군 간의 정준상관분석에서 진로장벽은 심리적 안녕감의 삶의 목적과 높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진로장벽 하위요인 중 자기명확성이 부족할수록, 우유부단한 성격이 강할수록 삶의 목적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장벽과 개인의 긍정적 기능과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명확성의 부족과 우유부단함은 불명확한 진로목표를 갖게 하여 삶의 방향성을 갖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는 핵심요인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 되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9 university students in P city. To analyze the data,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Second, career barriers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urpose of life. Specifically, the more students perceived lack of self-identify and indecisiveness, the lower purpose of life that is sub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results a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