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Korean Activities” Textboo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근희(Ha, Geun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909~9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 활동”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국어 활동”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을 살피고, 앞으로 “국어 활동” 교과서를 개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교사는 학습의 효율성과 적합성,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직접 경험하는 사람이므로 이들의 인식이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조사 결과, “국어 활동” 교과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다고 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그 원인은 “국어 활동”자체의 질이 낮기 때문이기 보다 지도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국어 활동” 교과서의 분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국어 공부 안내’는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들은 “국어 활동”의 ‘생활 속에서’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어 교육에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우리말 다지기’였으며 가장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놀며 생각하며’였다. 그리고 학년별로 교사들이 선호하는 “국어 활동”의 내용이 달랐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국어 활동” 교과서의 분량을 줄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국어 활동” 교과서에 대한 교사 연수와 학부모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국어 활동 교과서의 의도와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relates to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Korean activities . Teachers should experience th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learning in the classroom, the student s interest and attention. So, study the awareness of teachers. Through research Korean activities finds the text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future will be able to improve the Korean activities textbook. Survey results, Korean activities overall satisfaction is low. But the reason is not the Korean activities ’s quality, that lack of time to teach Korean activities . Teacher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Korean study guide. Teachers used the most in life s Korean activities . However, teachers are elements that you think are most helpful in Korean education was Korean tramping. Elements that teachers find that there was the need to think and play. Teachers were considered suitable for other activities by grade level in the Korean activities . Therefore, to reduce the amount of Korean activities textbook. And teachers should receive training on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Korean activities textbook.
목차
Ⅰ. 서 론
Ⅱ. “국어 활동” 교과서의 구성과 역할
Ⅲ.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Ⅳ. “국어 활동”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