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s Emotional Leadership, Kindergarten Teacher 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er 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정대(Cho, Chung-Dai) 강경석(Kang, Kyung-Se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741~7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유치원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의 정서지능 및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는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이었다. 공분산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최종모형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사의 정서지능보다는 교사효능감의 매개 역할이 더욱 큰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s emotional leadership, kindergarten teacher 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er 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nd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s emotional leadership, kindergarten teacher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s efficacy on teacher s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626 kindergarten teachers. In order to verify hypothesized model fit an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f th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 that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s emotional leadership affects kindergarten teacher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s efficacy positively. Kindergarten teacher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s efficacy affect teacher s job satisfaction positive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kindergarten teacher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s efficacy serve as positive mediators to the effect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s emotional leadership on teacher s job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s efficacy as mediators are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s emotional leadership on teacher s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