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Experiential Learning: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연(Lee, Jiy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1호, 199~2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의 체험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현재의 그 경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발전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발행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1993년부터 2013년까지 출간
된 중학생(교) 대상 체험학습 관련 논문 총 111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마련한 다섯 가지 분석 준거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목적 측면에서, 체험학습 이론 및 방법론 개발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가장많았다. 둘째, 연구주제에서는 체험학습 방법 및 모형 구안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체험학습의 평가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는 미미하였다. 셋째, 체
험학습 유형과 관련하여, 교과연계형에서는 기술․가정, 사회과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교실 밖 체험에서는 문화 및 역사와 사회 체험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넷째,활동내용과 관련해서는 실습 활동에 편중현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방법 측면에
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연구 과제로, 체험학습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 소개 및 논의 확대, 체험학습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확대,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의 체험학습 활성화, 체험
학습 활동내용의 다양화, 질적연구 및 혼합연구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 involving experiential learning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experiential learning. Towards this end, 111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experiential learning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2013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nalysis criteria: research purposes; themes; experiential learning categories covering curriculum subjects and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outside classroom;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Analysis of the article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research purpose, the most frequently shown concerned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ies and methodologies. Second, with respect to research themes, studies on the formul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methodologies and models ranked high
among the analyzed articles. Third, with regard to experiential learning categories,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Social Studies’ were the curriculum subjects that most frequently employed experiential learning. Also, ‘culture and history’ and ‘social’ experiences ranked high as types of experience outside the classroom. Fourth, in
terms of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practice’, including operating, making, testing, and physically exercising, showed high frequency. Fifth,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ology, most of the research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llow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xperiential learning are suggested and discussed: expansion of introduction and discussion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methodology;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vitaliz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in various curriculum subjects; diversification of activity types; greater bala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