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a Counseling Mod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미(Lee, Sun-Mi) 유형근(Yu, Hyung-K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1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중독의 특징을 반영한 상담 모형을 구안 및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는 인터넷 게임중독의 특성을 반영한 인터넷 게임중독 상담 모형을 구안, 사례 적용·분석으로 설
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분석, 잠정적 모형의 구안, 모형의 타당화, 최종적모형 확정, 사례 적용, 효과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담의 n단계별 절차와 상담 목표, 상담 내용 및 기법을 구성하여 잠정적 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잠정적 모형은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모형의 구조 및 내용, 실제 현장 적용 가능성 등에 관하여 수정ㆍ보완하는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인 모형을 완성하였다. 구안된 인터넷 게임중독 상담 모형은 초기, 중기, 종결, 추수 단계로 구성되었는데, 초기단계에는 상담관계형성, 중독수준진단, 공존질환 여부 확인, 동기강화 절차가 이루어지고 중기단계에는 부모 개입, 환경적 개입, 행동적 개입, 인지적 개입, 정서적 개입이 포함되었다. 구안한 상담 모형은 인터넷 게임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중학생 2명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상담이 종결된 후 사례 분석을 통하여 상담 모형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중독의 특징을 반영한 상담 모형을 제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unseling model to apply features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rise the adaptability of a daily life through decreasing of internet game addiction for high-risk group clients.
In this study,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 1. The researcher developed a counseling mod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2. The researcher analyzed two cases to apply counseling model.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firstly, the researcher explored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 general counseling model, motivational interviewing, cognitive behavior theory - about features of internet game addiction counseling and counseling model. Then, the researcher progressed development of a tentative model, validity of the model, development of a ultimate model, to apply two cases and analyze them.
Secondly, the researcher constructed a counseling mod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which consisted of 4 stages - the early stage, the middle stage, the termination stage, the follow up stage. In each stage, process, stage goals, tasks, techniques were suggested.
Thirdly, experts of counseling reviewed the processes and techniques of this model to verify the adequacy and generalization. Lastly, the researcher counseled two middle high-risk group clients following this model. After participants got counseling, their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decreased. Also, They reached
their counseling goals and evaluated the session positively. Their teachers and parents noticed that participants behaviors were changed positively. Therefore, The counseling model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effective.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상담 모형 구안
Ⅳ. 상담모형의 적용 효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