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Confrontation from the View of Participants in Reality Dynamic Group Couns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영(Park, Soo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623~6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실역동 집단상담에 참석한 참가자들의 입장에서 직면을 어떻게 경험하며 그 경험이 어떤 치료적 영향력을 갖는지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가장 최근 현실역동 집단상담에 참여했던 참가자들 5인을 대상으로 2015년 12월 2일부터 30일까지 한 달에 걸쳐 직면 경험에 대해 반구조적인 질문형식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현상학적 방법으로 4단계 분석절차를 거쳐 직면 경험의 내용과 그 치료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직면 경험에 대해 15개의 주제와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충격과 놀람’과 ‘인정과 부끄러움’, ‘각오와 실행’으로 나타났다. 5명의 참가자들은 직면을 경험하는 초반에는 놀라고 충격적으로 경험하지만 집단상담의 중반, 직면을 수용하는 시점이 되면 자신 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되면서 부끄러움과 참담함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집단 내에서는 변화에 대한 각오를 다지게 하였으며 일상으로 복귀해서는 자신의 문제에 대한 초점과 변화에 대한 각오를 유지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면 경험은 상담의 궁극적 목표인 ‘변화에 대해 강력한 동기화’를 이끌어내는 치료적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시 직면을 활용하는데 대하여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confrontation in Reality-dynamic group counseling and to identify its therapeutic value and signific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5 subjects who had participated several times in Reality-dynamic group counseling were thoroughly interview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during December 2015. The contents of confrontation experience and its impacts were carefully explor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ree categories of the essential themes of confrontation experience: ‘shock and astonishment’, ‘admitting and shame(take and shame)’ and ‘resolution and action’. At the very moment of confrontation, 5 participants were shocked and astonished and as they accepted and admitted the confrontation, they felt shame. It facilitated the participants to make resolutions and to act for changes. Moreover, it promoted participants to keep focusing on their problems in daily lives. In other words, it is proved that the effectively used confrontation experiences are the essential tools for ‘strong motivation for change’ which leads to ultimate goal of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ous ways of using confrontation skills effectively in group counseling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