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the Learning objectives of Standard KSL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심(Kim, Young-S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351~3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는 단원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원은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단원의 학습목표는 학습 내용, 제재, 활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학습목표가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Bloom 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근거로 하여《표준 한국어》교재의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신 교육목표분류학은 학습목표를 네 가지의 지식의 유형과 여섯 수준의 인지과정 유목으로 구분하는 이원적 구조로 되어 있다. 분석은 2015년 2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표준 한국어》교재의 학습목표는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 대부분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었다. 인지과정의 측면에서는 ‘기억하다, 이해하다, 적용하다’와 같은 3수준 이하의 유목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학습목표가 분류학 표에 제시된 지식의 차원과 인지과정의 차원을 균형 있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 절차적 지식과 메타 인지적 지식을 반영하고, 인지과정 측면에서는 분석하다, 평가 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 능력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학습목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학습목표의 진술 방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earning objectives of Standard Korean as Second Language(KSL) Textbooks, which were developed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o studied middle schools. The learning objectives are important roles in textbooks. It directs contents, selecting text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A New taxonomy, which was invented by Anderson(2001), was used to analyzed. It was consist of 4 Knowledge types and 6 cognitive process. As a results, the learning objectives of Standard KSL Textbooks were not balanced based on knowledge types and cognitive process. On the knowledge dimension, there were only ‘factual, conceptional, and procedural’ knowledge. No meta cognitive knowledge. O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ere were only ‘remember, understand, apply’ process. No analyze, evaluate, create process. In addition, statement methods of learning objectives were not consistent. It is needed to improv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