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ways to teach traditional fairy tales to children using 09 new reformed the Korean standards of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은미(Kwak EunMi) 추갑식(Choo KapS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25~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학이라는 장르에서 전래동화를 선정하고 전래동화의 특성의 입장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육적 측면에서 성취기준을 분석해봄으로써 전래동화의 바람직한 지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전래동화는 우리 조상들이 남겨 준 문화유산으로 다양한 가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문학교육을 위한 교재 또는 언어기능신장을 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 문학교육 고유의 가치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 모두를 충족시킬 때 전래동화는 문학 교육 교재로서 적합 을 지닌다. 이에 바람직한 문학 교육을 위한 전래동화 특성의 측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살펴보기 위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전래동화의 주제 유형과 그 지도 방향, 그리고 전래동화가 수록되어 있는 단원과 차시의 영역별, 내용별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교사는 전래동화가 수록된 단원과 차시의 지도에 있어 해당 전래동화의 주제유형과 성격, 이야기 속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와 해석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전래동화의 문학적 특성을 살리고 교육과정 성취 기준의 달성을 위한 바람직한 수업 설계 방향을 모색하여 실제 수업지도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lect fairly tales in the literary genre and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in the educational aspects for the perspective of fairy tale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desirable ways of teaching fairy tales. Fairy tales are cultural inheritance handed down from our ancestors that embody a variety of values in literature, and they should not be used as textbooks for literary education or tools for language enhancements. Fairy tales can be suitable literary education materials when they satisfy achievement standards suggested by curriculum and unique value of literary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fairy tale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standards for literature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and suggested types of themes of fairy tales and instruction decisions contained in textbooks, including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areas and contents of units and instruction units that feature fairy tal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is absolutely vital for teachers in teaching units and instruction units and types of themes and characters of the relevant fairy tales and various elements of stories. The study also examined desirable instructional directions for curriculum achievement, while emphasizing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fairy tales, thereby proposing actual teaching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 전래동화 교육의 가치 탐색 과정
Ⅲ. 교과서 속의 전래동화 주제 유형과 지도요소 현황
Ⅳ. 전래동화 수업을 위한 지도방안 탐색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