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arrative research about the acknowledgement and action of a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 at the class of ‘Soccer practice and teaching method’ ; Focused on the interaction with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대원(Park, Dae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403~4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축구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서 초등체육심화전공자가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의 인식과 실천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변화의 지향점에 따라 자신의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하는지, 그 경험의 재구성에서 교육적 의
미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초등체육심화전공 남학생 2명과 여학생 2명이 ‘축구 실기 및 지도법’을 수강하면서 체험한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 기법으로 풀어나가고 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이 수업에서 ‘남
학생의 시선으로’, ‘여학생의 시선으로’, ‘학습자의 시선으로’, ‘예비교사의 시선으로’등 서로 다른 맥락에서 바라보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는 ‘서로 다름에 대한 이해와 존중’, ‘예비교사로서 두 가지 시선’ 등 교사라는 직업과
연결되는 현실적 필요와 가치를 공유하였다. 이렇게 공통으로 인식된 가치는 새로운 맥락 이탈을 통해서 그들에게 새로운 ‘교육적 앎과 삶’의 형태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out what kind of changes occur at a class of ‘Soccer practice and teaching method’ when a elementary physical activity expert major goes through in terms of their acknowledgement and action from the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according to such focus of a change how does the one s experience is recomposed in a certain way and to research the educational meaning from the recomposition of the experience. In order to do this, 2 male students and 2 female students that are elementary physical activity expert majors took the class of
‘Soccer practice and teaching method’ and cited the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a narr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at this clas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nt through experiences of looking at it different contexts such as ‘from a male student point of view’, ‘from a female student point of view’, ‘from a
learner s point of view’, ‘from a preliminary teacher point of view ’ etc. Through such experien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hared the practical needs and values that is linked with the vocation of a teacher such as ‘understanding and respect of one s difference’, ‘two points of view as a preliminary teacher’ etc. Such shared common
values was formed into a new educational knowing and life to them through a new contextual breakaway.
목차
Ⅰ. 서 론
Ⅱ. 내러티브 스케치: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이야기하기: ‘축구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과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Ⅳ. 다시 이야기하기: ‘축구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경험적 의미에 대한 내러티브
Ⅴ. 결론 및 제언: 배우는 자와 가르치는 자의 지평이 만나서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