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Donation fo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혜숙(Han, Hyesook) 이화정(Lee, Hwa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255~2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교육기부 활동을 통해 대학생들의 ‘봉사 의식’, ‘학습동기 및 진로계획’, ‘핵심역량’, ‘행복지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관하는 ‘함성소리’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참여한 44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을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교육기부에 대한 인식, 교육기부 수행에 대한 자신감, 지역사회 참여 의식, 일반적인 봉사
의식에 대한 생각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비록 학습 동기 및 진로 계획측면에서는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에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긍정적인 변화를 제시한 응답 비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진로에 대한 생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학생들의 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창의성, 목표지향적 계획 수림 및 수행력, 자
기효능감, 자기존중감과 같은 핵심역량의 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통 능력의 경우 강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약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가장 낮게 나타나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는 대학생들의 소
통 능력의 강화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 후 대학생들의 행복지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iversity students’ changes in perceptions of voluntary consciousness, core competency,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and happiness after participating in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A questionnaire designed to uncover changes in students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was given to 447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called as ‘shouting sound’ on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houting sound’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s of awareness
of Donation for Education, voluntary consciousness, self-efficacy for conducting donation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Second, in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although the ratio of responses indicating no change through the program was higher than the ratio of positive cha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s of the responses was very small. It tells us a potential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s of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Third, ‘shouting sound’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or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 creativity, establishment of goal-oriented plan and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Especially, participation in ‘shouting sound’ program was the most effective for strengthening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 Fourth, majority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ir happiness. It means that the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happ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