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s Instruction Culture Dimensions and Factors Investig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석진(Kim, Suk jin) 정동영(Chung, Dong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155~1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수업문화의 차원과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수업문화의 차원과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업문화의 차원은
인식, 철학, 심리의 3가지로 구분되며, 인식차원은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철학은 교수주의와 구성주의, 심리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문화의 요인으로는 ‘전문지식’, ‘목표설정’, ‘경험의 타당성’, ‘교사역할’, ‘프로
그램의 융통성’, ‘실수의 가치와 경험 학습’, ‘동기’, ‘개별적 차이에 대한 조절’, ‘학습자 통제’, ‘사용자 활동’, ‘협동학습’, ‘매체활용’, ‘평가’, ‘피드백’의 13가지가 추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instruction culture dimentions and factors to understand instruction culture. To do this,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nstruction culture dimensions and factor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struction culture dimensio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perception, philosophy, and psychology. Dimension of perception were divided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Dimension of philosophy were divided Instructivist and Constructivist. Dimension of psychology were divided Behaviorism and Congnitivism.
Instruction culture factors were extracted into thirteen types, ‘Professional knowledge’, ‘Goal orientation’, ‘Experiential validity’, ‘Role of teacher’, ‘Flexibility of the programs’, ‘Value of error & Experiential learning’, ‘Motivation’, ‘Accommod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er Control’, ‘User Activity’,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of
educational medium’, ‘Student assessment’ and Feedback’.
목차
Ⅰ. 서 론
Ⅱ. 문화와 수업문화
Ⅲ. 문화의 차원과 수업문화의 차원
Ⅳ. 문화의 요인과 수업문화 요인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