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erdependence, Familiarity of Colleague and Usefulness 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University Class of Adopting Faceboo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민기(Park, MinKi) 박성열(Park, SungYoul) 차승봉(Cha, SeungB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페이스북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규명해 보고, 대학수업에서 학습자들간의 상호의존성, 동료 간 친밀성,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태도 및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K대학에서 페이스북을 활
용한 대학수업에 참여한 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3을 사용하여 One-way MANOVA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상호의존성 수준에 따라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의 동료간 친밀성 수
준에 따라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습자 서로 간의 동료간 친밀성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가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 수준에 따라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높은 유용성 인식은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study purposes were to determine educational use of Facebook by university students and to identify whether interdepend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familiarity of colleagues, perceived usefulness by students affect their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ith 152 university students in K university in Seoul.
Survey instrument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review. SAS version 9.3 was used to implement statistical analysis. Major statistical analyses were one-way MANOVA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interdependence, familiarity, and usefulness.
The major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terdependence was identified having influence both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NOVA. As level of interdependence is increase,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get higher. Second, it is also identified that familiarity significantly affected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Similarly,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increase in accordance with level of familiarity.
Third, perceived usefulness was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Like the above results, higher perceived usefulness results in more positive learning attitude and higher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various variables such as collaboration with Facebook u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