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quiry on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민용성(Min, YongSeong) 최화숙(Choi, Hwa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전반적인 설계도인 교육과정이 시대적·사회적 상황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중심과 다문화 교육의 본질을 모두 반영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중심적인 요소가 복합된 학습자중심 다
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교육 중심내용 요소, 학습자중심 교육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 다문화내용 요소와의 공통된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학습
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학습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총론) 문서 체제의재정립,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학교 교육과정 지원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다문화교육과 학습자중심의 본질에 터하여 시대적·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학습자중심의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총론 수준에서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s perception for the reflection of the multicultural nature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order to coincide the times and social situations with the curriculum-the overall designs of school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of learner-centered complex component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the relevance of core content elem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its curriculum relevance,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of the state-level curriculum. Based on this, inquired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proposed the redefine of the state-level curriculum document system, the direction of curriculum constructi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each school curriculum and support school curriculum.
In that nat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earner-centered, inquired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reflection of the contemporary and social change in the state-level curriculum. These findings could have a significance in terms of suggesting the implication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다문화교육 개념과 다문화관련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 내용 분석
Ⅲ. 학습자중심 교육과 교육과정 관련 요인 분석
Ⅲ. 학습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