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Review of experiment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부영(An, Bu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9호, 219~2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통합 국어 교과서 개발의 방향과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통합형 국어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국어 교과서는 통합형 체제를 취하고 있다.
통합형으로 개발되는 국어 교과서가 이전에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때의 통합이 진정한 통합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렇게 본다면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국어 교과서야말로 통합의 의미와 취지를 반영하고자 노력한 최초의 통
합형 국어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융합, 통섭, 통합의 의미를 재규정하였다. 그리고 통합의 범주와 유형을 구분하였다. 통합의 범주와 유형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실험본 교과서 5-1, 6-1를 비판적
으로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grated textbook. So I critically review the experiment textbooks.
Before performing this, I looked at a lot of investment of study for integration. I have set up the method and scope of the integration of them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I have argued method of the integrated : shared, parallel lines, inclusion.
And I have defined the scope of consolidation: the purpose, content, the method, in the context.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 made the sam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Should be integrated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similar. So we need to expand and deepen the depth of learning. Second, Should be introduced to a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for our students.
Language textbooks, as amended in 2009 is the first integrated textbook. I will be able to give a lot of suggestion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is textbook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통합의 수준과 범위
Ⅲ. 2009 개정 통합형 국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