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usic Class Reading and Writing Perspectives on Class Critiqu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향정(Hyang-j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9호, 6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관찰에 있어 질적 방법론의 하나인 수업 비평문을 어떻게 쓸 것인가를 안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수업 비평은 <읽기>와 <쓰기>의 과정 안에서 자신의 안목을 드러내고, 타자와 소통하며, 이와 더불어 수업 전문성이 길러지는 활동이
다. 이 과정은 수업비평문이라는 창의적인 글쓰기로 마무리되는데 이 때, 어느 정도유형화된 기준과 형식은 수업 비평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예비교사나 일반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업<읽기>에서는 교사이해와 PCK 기반의 교사 능력,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와 분석, 수업 참여자의 의도 및 연행, 수업 전체의 맥락적 이해,요소를 제시하였다. <쓰기>는 기술(모방적 양식), 분석 및 해석(표현적 양식), 평가(관습적 양식)를 축으로 하는 틀을 구성하였으며, <읽기>요소와 <쓰기>형식을 기
반으로 과학성과 예술성을 드러내는 창의적인 수업 비평문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how to write a Class Critique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class observation. The Class critique is an activity that can improve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by revealing one s own perspective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teachers in the process of and .
This process of Class Critique ended up with creative writing. At this time, it is very useful for the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 to write a Class Critique with its patterned standards and forms. In Class Reading(observing), it is presented 4 core elements: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through PCK,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course contents, intentions and Performance of class participants, and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whole class. was framed into 3 components which were description(mimetic mode), analysis and interpretation(expressive mode) and appraisement(conventional mode), including perceived specific details in Class Reading. This research proposed a creative Class Critique unfolding attributes of art and science based on its components and forms.
목차
Ⅰ. 서 론
Ⅱ. ‘읽기’와 ‘쓰기’의 담론
Ⅲ. 음악 수업 비평문
Ⅳ. 요약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