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Analysis of Possibilities and Limits of Subject Classroom Syst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종면(Baik, Jong-M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7호, 255~2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과교실제에 대한 학술적 연구에서 제기된 교과교실제의 필요성·가능성과 함께 교과교실제의 한계나 성공적 도입을 위한 과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술논문 DB인 RISS, KISS, DBPIA 등의 검
색을 통해 1997년부터 2013년 기간 동안 발표된 학술지논문 26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술논문은 하드웨어 영역, 소프트웨어 영역, 휴먼웨어 영역, 시스템웨어 영역 등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체계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교과교실제는 그 필요성과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학급교실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여건에 비추어 볼 때 그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하드웨어 측면에서 볼 때 신설학교가
아닌 기존의 학교에 대해 리모델링이나 증축, 재배치를 통해 교과교실제에 적합한 건축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성의 확대, 효과적 교수학습을 위한 교과
별 수업모형 및 방법의 개발·보급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휴먼웨어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교과교실제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이고,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시스템웨어 측면에서 볼
때, 단위학교의 업무중심의 교무조직을 교과와 수업중심의 체제로 전환하고 학생지도체제는 자율적 자기관리 방식으로 바꾸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necessity/possibility and limits/tasks of subject classroom system raised in academic researches. For this purpose, the academic papers studied from 1997 to 2013 were looked up initially through the academic DBs such as RISS, KISS and DBPIA. For this study, 26
journal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erms of four categories of hardware, software, humanware and system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had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in spite of its necessity and possibilities.
First, in hardware aspect, the schools has difficulties in restructuring the classroom and facilities into ones appropriate for subject classroom system. Secondly, with respect to software aspect, the school autonomy of curriculum management should be expanded and subject instructional model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irdly, in humanware aspect,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for subject classroom system should be enhanced an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should be enforced. Finally, with regard to systemware, the school organization shoud be reorganized for instruction-centered one from administration-centered one and system of student guidance and disciplines should be changed into self-directed managemen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