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School Sex Education across School Grade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혜(Lee, Ji-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7호, 49~7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성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학교 성교육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성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어떠한지, 그리고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초․중․고 환경특성과 학생 발달 특성의 차이에 따라 학교급별 성교육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 성교육에 대한 학교급별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초, 중, 고 학교 성교육 담당 교사 674명이고, 자료는 IPA 분석기법
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가장 많이 차이가 나는 항목은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발달과 수준에 적합한 성교육’, 중학교의 경우 ‘다양한 교과목을 통한 성교육’, 고등학교의 경우 ‘성교육 내용을
고려한 수업 방식의 다양화’로 나타났다. 둘째,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 초․중․고모든 학교급에서 제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는 ‘다양한 교과목을 통한 성교육’이 포함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sex education across school grade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674 participant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tudent development and level-appropriate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through variety of subjects in middle school, considering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lessons how to diversify in high school, there is an emphasis on diversifying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that the items are a lot of difference compared importance of performance.
Second, the IPA revealed that there is sex education through variety of subjects in quadrant 2 (concentrate here).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