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ducational possibility and teaching methods of emotion based affective P.E.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일(Gyu Il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7호, 2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30

국문 초록
신체활동에 내재된 정의적 발달 가능성에 비해 체육수업의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 최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는 정의적 교육을 위한 대안으로 정서에 주목하는 반면 체육교육학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본격적인 논의를 시도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 관련 연구를 토대로 체육과 정의적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 및 수업의 방법적 대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인지-정서 복합이론을 토대로 정의적 수업 맥락에서 정서 조절 학습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정서 기반
체육수업의 이론적 논증을 토대로 한 교육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체활동의 긍정적 정서 효과, 풍부한 정서와 사회적․도덕적 딜레마 상황이 연출되는 체육수업에서의 정서 조절 학습 가능성, 그리고 신경과학 연구(거울 뉴런과 감각 및
신체 지도 연구)를 토대로 도덕적 행동 학습 환경으로써 체육수업의 정의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정의적 체육수업의 방법적 접근을, 정서적 수업 분위기, 중-고강도 신체활동 증진, 팀 학습 강화, 행동 관찰과 모방 그리
고 신체적 연습, 정서 조절 기술의 과제 구현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서 기반 정의적 체육수업의 향후 연구 주제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affective values were inhere in physical activities, however, the effect though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unclear. The various fields of study paid attention emotion as an alternative of affective education. The discussion in P.E. didn t animate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ducational possibility and teaching method of emotion based affective P.E. class. In chapter 2, I examined necessity of emotional regulation learning on the basis of cognition-emotion unified theory, and then, in chapter 3, attempted to demonstrate theoretically value of
emotion based P.E. class. I proposed the value as 1) affirmative emotion effect of physical activity, 2) P.E. class environment possible to lear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3) social and moral learning environment of P.E. class. And then, in the next chapter, I suggested a few affective P.E. teaching methods, emotional class mood, enhancement of moderate-vigorous physical activity, strengthened team learning, using strategically behavior observation and imitation and behavioral exercise, offering emotional regulation skill as learning task. Lastly, I provided future
research s themes.
목차
Ⅰ. 서론
Ⅱ. 인지-정서 상호작용론
Ⅲ. 체육수업과 정서 조절
Ⅳ. 정서 기반 체육과 정의적 수업의 방법적 접근
Ⅴ. 결어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