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the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 of Sakhalin Koreans through ethnic medi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봉수(Bong-Su Park) 김영순(Young-Soo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5호, 737~7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 사할린주의 한인 민족 미디어를 통한 사할린 한인의 민족 정체성 구성 경험을 고찰하는 데 있다. 특히 사할린 한인 민족 미디어가 러시아 사회 속에서 사할린 한인들에게 어떠한 식으로 수용되었으며,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리고 한민족 문화의 계승을 위해 어떻게 노력하였으며, 러시아의 정치적 변화와 정책 노선에 따라 한인 민족 정체성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년 2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사할린 한인 민족미디어 종사자 및 종사 경험을 가지고 있는 민족 미디어 관계자 5명으로부터 문서, 개방형 질문지,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할린 한인 민족 미디어는 한글 교육과 민족 교육으로 민족문화의 유지 및 계승에 영향을 끼쳤으며, 주류 사회에 대한 저항과 가교역할을 하였고, 한류열풍 및 우리 문화 우수성 확산에 이바지하여 한인이 자긍심 고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한인 민족 미디어는 민족 정체성에 바탕을 둔 공통된 정서적 교감과 성향까지도 영향을 미쳐 한인사회 통합의 촉진제 역할을 하고, 집단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construction experience of Korean people through Korean ethnic group media in Sakhalin in Russia. Ex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in what way the Korean media has been absorbed in Korean in Sakhalin, how it has been changed, what effort they put into for succession of Korean culture and how the Russian political changes has give affect to the Korean identity formation. To do this, documents, open-questioned questionaries and personal interview from ethnic media interested people are analyzed. They either have working experience or have been working in the period of from April 2015 to 2015 October. Study result showed that Sakhalin Korean national media did role of Korean character and ethnic education, sustaining and transmitting national tradition, strengthening the unity, resisting against mainstream society, bridging between generations, spreading Korean Wave and our superior culture, leading to inspiring Korean pride. It gives impact on sharing each other s feeling and tendency which are based on ethnic identity leading to accelerating Korean society integration as well as taking a major role in forming collective ident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