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Re-writing A Tale of the Conquest over a Big Enemy from an Underground Nation - Focusing on picture book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김화림(Hwa-Lim Kim) 김한일(Hanil Kim)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6, No.4, 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지하국대적퇴치설화」의 서사는 세계에 분포하는 설화로 나라마다 이야기와 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런 익숙한 서사구 조는 다른 문화를 가진 곳에서도 큰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라 설화에서 추출한 요소를 가지고 스토리 텔링을 진행할 경우에는 설화의 개연성과 보편성이 확보된 콘텐츠 창작이 가능함으로 설화의 요소와 구조를 이용하여 그림책 스토리텔링을 진행하였다. 설화를 콘텐츠화 하는 방식 중 하나를 새로쓰기라고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설화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후 그림책의 구성요소를 문학적 관점에서 주제, 플롯, 등장인물, 배경으로 나누어 그림책 스토리텔링을 진행함으로「지하 국대적퇴치설화」의 새로쓰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ory of A Tale of the Conquest over a Big Enemy from an Underground Nation is a story that is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This familiar narrative structure can be accepted without great objection even in places with different cultures.
In case of storytelling with the elements extracted from the narrative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storytelling of the picture book was carried out using the element and structure of the narrative. One of the ways to content the story is called a re-writing.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components of picture book into literary subjects, plots, characters, and backgrounds. A Tale of the Conquest over a Big Enemy from an Underground Nation is analyzed in the same way. And presented storytelling of the picture book.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스토리텔링 방안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