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about the Quality of Childhood Lif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영(Yi Ju yeong) 권동택(Kwon Dong ta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9호, 639~6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 삶의 질 구성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토대로 삶의 질 구성요인을 확인한 후, 아동기 생태 체계(개 인, 가정, 학교 및 사회)와 발달 영역(신체행동, 인지, 사회정서)을 기준으로 9개 영 역 90문항을 추출하고 개방형 1문항을 추가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후 초등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결과, 아동기 삶의 질을 구성하는 5개 요인 32문항이 추출되었다. 또한 개방형 문항의 내용 분석 결과, 물질, 자유, 대회(경기) 등 3문항이 추가되어 관련 요인에 추가하였다. 이들 요인을 자아 안정성, 가족 친밀성, 학습 성실성, 상황 만족성, 인정 추구성으로 명 명하였다. 본 연구는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검사로서 후속 연구를 통해 아동기 삶 의 질 구성요인을 밝히고,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아동기 삶의 질을 설명하고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o construct quality of childhood s life. For this study, first 40 factors based on references and previous studies was clarified. And then, 90 questions of 9 domains was extracted and 1 open question was added by considering development domains of childhood(physics and Behavior, cognition, society and emotion). The surveys based on 214 elementary students responses for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for the factor analysis were was extracted 5 factors to construct quality of childhood s life. And the results of open question content analysis were added 3 questions of material, freedom and game. These factors were named as self stability, family intimacy, learning sincerity, situation satisfaction, recognition orientation. This study confirmed factors that composed of quality of childhood s life through a follow-up study as preliminary tests for scale development and was tried to contribute to the explanation and improvement of childhood life by scaling i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