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edictive power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shared mental model on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명희(Kang, Myunghee) 김세영(Kim, Seyoung) 윤성혜(Yoon, Seonghye) 강주현(Kang, Joo 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5호, 547~5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자기조절학습능력, 공유정신모형(과제관련, 팀원관련)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69명이 18개 집단으로 구성되어 2015년 1학기 중 총 6주간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여 팀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순매개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이 만족도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만족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shared mental mode(Task-SSM, Team-SSM) were chosen as critical predictors of the learning outcomes. 6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18 groups and instructed to work on a team project using Naver Band for 6 week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SMM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econd, Team-SM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1)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2)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