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Unproctored Exam Implementation to Improve College Student Ethic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송욱(Choi, Songuk) 최성원(Choi, Sung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5호, 425~4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적 측면에서 본 대학 내 무감독 시험제도의 실천적 적용 방안에 관해 고찰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에는 총 8개월이 소요되었으며, 포커스 그룹으로 참여한 총 15명의 학생이 전공 수업 중 10주에 걸쳐 반복측정을 동반한 quasi 디자인 형식의 실험에 참여하였고 학기 종료 후 5개월 뒤 다시 follow-up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무감독 시험을 경험해보는 것만으로도 이 제도에 대해 보다 높은 신뢰감과 만족도를 느끼게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교수자가 이 제도의 도덕적 의의에 관해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만약의 부정행위 시도에 대한 예방적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했을 때 이 제도를 보다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들에 대한 자기주도적 윤리실천으로서의 무감독 시험제도의 가능성에 관한 논의를 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build an ethically successful and student self-directed implementation plan to conduct unproctored exams in college classroom settings. We employed ten-week long longitudinal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for fifteen business-majoring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of the study and a follow-up survey conducted five months la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unproctored exams enhances students’ trust and satisfaction on unproctored style exams. Moreover, students’ perceived level of fairness also increases when the moral meaning of unproctored exam is actively communicated to students and when a practical way of cheating prevention is implemented in class. Eth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