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phor Analysis of Korean Teacher’s Genre Awareness in writ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영(Park, Hye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5호, 403~4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교육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은유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어교사들의 쓰기 장르에 대한 인식 양상을 탐구하고 교사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은유는 목표영역과 근원영역을 연결시키는 심리적 기제로 기존 개념에 대한 주체의 해석을 필요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64명의 중고등학교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쓰기 장르에 대한 은유 표현과 표현 이유에 대한 기술문을 조사·분석하여 국어교사의 인식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총 61개의 은유 표현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형식, 내용, 갈래, 구분, 집합적 개별성, 소통적 경계, 체계, 문화, 모호함’의 9개로 범주화하였다. 국어교사들은 1) 장르를 텍스트 유형이나 쓰기 결과물, 글의 갈래와 같은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2) 쓰기 장르가 고정성과 변형 가능성, 안정성과 창조성의 이중적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고, 3) 장르를 고정적인 언어적 결과물 이상의 사회와 문화 변화를 이끌어 내는 사회적 행위나 ‘문화 실천(23.4%)’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은유는 언어적 형상화 과정을 통해 추상적으로 존재하던 교사의 교육적 신념과 지식을 구체화하는 심리적 기제가 된다. 따라서 은유를 활용하는 것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수업 개선을 위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competencies of instruction in class. In particular, analyzing teachers metaphor to writing genres , this study seek to reveal how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writing genre. Conducting metaphor analysis, this study explored 64 secondary teachers metaphorical images of genre awareness in teaching writing. In order to discover how those teachers have constituted concepts of genre, this study employed metaphor analysis as method and methodology. 61 metaphorical expressions drawn on and 9 patterns of them were induced from those data such as fram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form, branch, classification, collective diversity, dialogical borderline, convention, cultural practice, ambigu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