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규연(Lim Kyu Yon) 김시원(Kim Si Won) 김영주(Kim Young J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0호, 685~7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협력학 습 성과와의 관계를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지 분석하고 자 하였다. 성공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해서는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자 개인의 역 할 및 학습자들 간의 효과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 습 맥락에서 개인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는 다각적인 학습자 특성에 대한 탐 구를 통해 효과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한 요인을 규명하고, 협력학습의 성과를 촉 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52 명을 대상으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 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은 성취도를 예측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은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 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메타인 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메 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성취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협력학습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협력학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 해서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설계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gul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role of individual learner and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are critical elements to accomplish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Participants were 55 college students and data from 52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achievement, and co-regulation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wherea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did. Also, learner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howed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his results emphasize that instructional design and supports consideri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re needed for student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