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tmen and Validation of Comprehensive Happines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효정(Jeon Hyo Jeong) 류미향(Ryu Mi Hyang) 고은경(Goh Eun K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0호, 517~54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 으로 이를 위해 문항 구성 개념을 위한 문헌분석, 포커스 그룹 면담, 전문가 검증을 통해 척도 시안을 개발하고 예비 조사와 본 조사를 거쳐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 도 검증을 통해 문항 양호도를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척도의 양호도를 조사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과 포커스 그룹 면담, 그리고 전문가 검증으로 총 6개 요인, 81개 문항으로 구성된 시안을 개발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영유아교사 212명을 대 상으로 총 5개 요인, 59개 문항에 대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척 도의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가 양호하여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적합하였다. 둘째, 본 척도의 양호도를 위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 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 척도는 총 53문항으 로 직업적 효능감 17문항, 유아교사직에 대한 만족 7문항, 조직에 대한 만족과 몰입 12문항, 여가 및 신체적 안녕 6문항, 그리고 심리적 안녕 11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 다. 이러한 구성모델은 구조방정식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 포괄적 행복척도와 유치원교사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 그리고 유아교사 행복플로리시 척도와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각각 유 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의 신뢰도는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비교적 높 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Comprehensive Happines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12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The Comprehensive Happines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ed of 53 items containing 5 factors that account for 43.6% of the total variance among the subscale ite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subfactors ranged from .18 to .5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ubfactors and total scores ranged from .57 to .78.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elected final items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Cronbach’s α ranged from .77 to .90.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