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교사 양성 교육을 위한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 강의 비교 분석

이용수 63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Required Courses on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종우(Kim, Jong- W oo) 김효심(Kim, Hyo-Sh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5호, 243~25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교원양성대학교에서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이 어떻게 운영 되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교원양성대학의 실과 필수 과목 전체 강좌를 비교한다. 둘째, 실과 교육 학 학문 영역별로 구분하여 필수 과목 운영 실태를 비교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 10개 교육대학교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한국교원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의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이다. 교원 양성 대학의 실과교육학 구조는 일반적 으로 교과교육론과 교과내용학 3영역(가정, 기술, 농업)으로 대별되어 있었다. 초등 교원양성대학교마다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의 강의 주제가 다른 점을 감안할 때, 전국 초등교원양성대학교에 공통적으로 적용할만한 실과교육 필수 과목 강의 표준안을 새롭게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required courses in practical arts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1) to compare the overall required courses in practical arts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2) to compare the conditions of the required courses after dividing them by academic field. The research targeted the overall required courses in practical arts departments of 10 nationwide universities of education, teachers college of Jeju University, and the elementary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wha Women’s University. For data analysis, the academic fields were primarily categorized into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s knowledge(home economics, technology studies and agricultural scienc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overall required courses by univers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s. Seco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academic fields(practical arts education, home economics, technology studies and agricultural science studies) are not balance the number of the theme in required course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develop the new lecture standards for required courses in practical arts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초등교원 양성대학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 교육과정 비교·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우(Kim, Jong- W oo),김효심(Kim, Hyo-Shim). (2016).초등 교사 양성 교육을 위한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 강의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5), 243-258

MLA

김종우(Kim, Jong- W oo),김효심(Kim, Hyo-Shim). "초등 교사 양성 교육을 위한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 강의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2016): 243-25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