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s to impact on the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resear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이(Kim Yeong Lee) 이윤주(Lee Yoon J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0호, 377~4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동기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사례연구의 방식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거주하 는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3명을 대상으로 12회기 학습동기증진 프로그램을 1회 90 분씩 실시하여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학습동기 변화의 과정을 학습동기 하위요인별 로 알아보았다. 자료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 12회기 활동을 모두 녹음하여 전사하였 으며 교사면담과 현장관찰일지를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증진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 아동들의 학습동기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자신감이 향상되어 선생님과 친구들 앞에서 자신 있게 발표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자 기조절 효능감이 향상되어 내가 싫어하는 수업 시간에도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한 실수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에서 긍정적인 감정으로 전환되었고 틀린 문제를 다 시 풀어보는 행동 반응을 보였으며 과제수준 선호가 높아져 어렵더라도 학교 숙제 를 꼭 하게 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추후연구를 위 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ill influence learning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 on the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were eotteohanji navigate by way of case studies. 6th grade boys three people in the 12 session of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s for 90 minutes once the program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ongoing process of change motivation residence at G To this end eotteohanji investigated by child motivation factors. To record the entire session data collection activities for the transfer was recorded a teacher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 journal. Results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otivation of promoting research involved children. In each sub-factor, the confidence was able to make a presentation in front of their teachers and friends were able to focus in class, I do not like the self-regulating efficacy. Switching from negative emotions into positive feelings about the mistake was released again showed behavioral responses to see the wrong problem, though difficult challenges increase the level of preference was a result that will come schoolwork. These findings were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