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Support, the Transactional Self Efficacy, the Organization Commitment, Goal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Newly Employed Junior College Graduat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보민(Kwon Bo Min) 유희정(Yu Hee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0호, 253~2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업무 적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목표지향행동 간의 구조관계를 설정하고 변인들의 영향력 을 다루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3년제 전문대학을 졸업 하고 취업한 후 재직기간이 1년 이하인 취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에 직접효과가 있다. 둘째,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사회적 지지는 업무적 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 는 있었으나 업무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접효과는 없다. 셋째, 전문 대 졸업 신입사원의 사회적 지지는 조직몰입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접효과가 있다. 넷째,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사회적 지지는 목표지향행동에 직접효과가 없으며 목 표지향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접효과도 없다. 다섯째,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사 회적 지지는 업무적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행동에 직접효과가 있으나 업무적 자기 효능감과 목표지향행동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접효과는 없다. 여섯째,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사회적 지지는 업무적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 접효과가 있다. 일곱째,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사회적 지지는 업무적 자기효능감 과 조직몰입에 직접효과는 있으나 업무적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목표지향행동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job satisfaction for newly employed junior college graduates. To achieve these results,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and four modified models were proposed based on bot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support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influences between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A total of 265 graduates(new employees) was collected from 3 junior colleges in Busan, Korea responded to fiv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social support, transactional self efficacy, organization commitment, goal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howed the direct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newly employed junior college graduates. Seco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from transactional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job satisfaction. Third, social support affected job satisfaction through organization commitment. Fourth,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from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job satisfaction. Fifth,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from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self efficacy and the job satisfaction. Sixth, social support affected job satisfaction through transactional self efficac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Seventh,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from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In the model that was finally selected, social support, transactional self efficacy, organization commitment, and goal orientation were able to explain 75% of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