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tical investigation on Concept of Explanation and Direction of education Reflected on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진(Kim Soo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1호, 673~6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설명은 세상과 세상이 돌아가는 방식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언어 기능이다. 설 명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설명에 대한 철학적인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설명 을 철학적으로 살펴보면 서양철학에서는 설명이 연역적 모델, 확률적 모델, 기능론 적 또는 목적론적 모델, 발생적 모델 형태로 나타난다. 각 모델별로 특징이 있으나 이들의 특징을 종합하여 설명을 정의하면 설명은 대상의 본질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그 속에 내재된 원인을 밝혀 법칙성을 정립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의 개념에 비추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설명을 살펴보면, 전 교육과정에 걸쳐 설명과 기술의 경계가 모호하게 교육과정에 제시되었다. 그리고 설명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 이 체계가 명확하지 않고 그에 따른 텍스트 제시도 장르로서의 설명과 양태로서의 설명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설명의 개념을 명 확히 하고 도구교과로서 위치를 곤고히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 여야 한다.
영문 초록
Explanation is an essential feature to understand how the world works and the world. To know what explan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a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Looking at the Western philosophy to explain the philosophical explanation is a deductive model, stochastic model, functional stoichiometric or teleological model, it appears as a genetic model type. If the features of each model but defined by the explanation of the synthesis of these features described can be said to establish the rule out the inherent property caused in the exposed clearly the nature of the target. Looking at the expla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view of the concept of this explanation, throughout the curriculum of the boundary explanation and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obscur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is presented for illustrative system , the text accordingly without clear distinction is also described as a genre is not as described and aspects not clear.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should be clearly constitutes a systematic curriculum subjects afflicted the location as a tool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Hebrews .
목차
Ⅰ. 서 론
Ⅱ. 철학적인 관점에서 설명의 의미 고찰
Ⅲ.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설명 교육 현황 분석
Ⅳ. 국어과 교육에서 설명 교육을 위한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