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of brain activation between using a digital and a paper textbook- EEG stud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석원(Kwon, Suk-Won) 권용주(Kwon, Yong-Ju) 양일호(Yang, Il-Ho) 변정호(Byun, Jung-Ho) 이일선(Lee, Il-Sun) 권승혁(Kwon, Seung-Hyuk) 김순미(Kim, Soon-Mi) 박상희(Park, Sang-Hee) 김윤영(Kim, Yoon-Young) 계보경(Kye, Bo-Kyung) 정광훈(Jung, Kwang-H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5호,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0

국문 초록
정보통신 전자기술이 발달하고 확산됨에 이를 이용한 스마트 교육이 점점 확산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 스마트 교육의 보급을 위해서 디지털 교과서 사용에 따른 역기능에 대한 체
계적인 진단 및 분석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 사용의 뇌기능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고 안전하고 올바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교과서 활용 시 학습자의 두뇌 활성 영향분석을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교과서 사용시 서책형 사용에 비해 델타와 감마대역에서 우측 전두엽, 두정엽, 피질하 일부 영역과 변연계 중뇌섬엽에서 유의하게 두뇌 활성 및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안전하고 올바른 사용을 위해 관련 뇌과학연구의 확대와 가이드라인의 제작 및 제시, 교사와 함께하는 스마트 교육의 발전을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mart education is spreading to more and more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proliferation of electronic communication. It is increasing concerns about using digital device based on digital textbooks. The growing calls for systematic diagnosis and analysis about dysfunction of
using digital textbooks for the proper prevalence of smart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brain function using digital textbooks and to propose ways to ensure safe and proper utilization.
To reach the purpose,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analysis effect on brain activation of learner using digital textbooks. A comparative study of active region of the brain when students use digital textbook or paper textbook,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 observed a significant delta and gamma power increase in right frontal,
parietal and insula(Sub-lobar) in using the digital textbook.
Though this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using digital textbook effect especially on brain function. And we propose a enlargement of smart education related brian science research, manufacture and present guide-line and necessity of additional research for development smart education with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절차 및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