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reaction to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도영(Do yeoung Lee) 최류미(Ryu mi Choi) 김대현(Dae 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1호, 177~1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자신의 수업에 어떠한 인식을 갖고 대응하는지에 관하 여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탐구한 것이다. 자료 수집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에 의해 분석한 결과,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자신의 수업에 관한 중심현상은 ‘수업에 대한 고민’이며, 이때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크게 3가지로 나타났다. 첫째는 정해진 진도와 계획, 둘째는 학생들의 참여와 상호작용, 셋째는 수업의 의 미와 가치에 대한 고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사의 ‘수업에 대한 고민’이라는 중심 현상에 따른 상이한 3가지 요소를 분석하여 각각의 하위 패러다 임을 제시하였다. 각 패러다임 별로 중심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맥락적 요 인을 분석하고, 교사의 상호작용과 결과를 설명함으로써, 중학교 교사들이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구조 적, 미시적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좋은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교원 연수, 수업 성찰, 그리고 학교 문화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ubstantive theory to explain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process of instru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data was gathered through the interviews of middle school teachers. These data was analyzed using a Strauss, A., &Corbin, J.‘ Grouneded Theory Methods. The central phenomenon which the middle school teachers go through is ’concerning the instruction’. There are mainly three factors which teachers consider important. First factor is the expected progress and second is the students’ active engagement. Then lastly, it is meaning and value of the classroom instruction. Paradigm models were released based on these three different sub-factors. By explaining the cause and context which affected central phenomenon and teachers’ interaction and consequences, this study can be exploi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teachers’ instruction and the causes of multiple level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we propose an in-service training system, reflection of teaching and school culture for supporting good instructional practi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교사의 수업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중학교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고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