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ask value, Stress, Academic Burnout, and Learning Engagement in an e-Learning Cou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윤희(Song Yun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1호, 105~1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이러닝 학업상황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열의는 동시에 발생하는 변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주로 학업소진이나 학업열의에 대해 따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학업 소진과 학업열의에 동시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서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칠 핵심 변인으로 과제가치와 스트레스를 선 정하여 네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100%로 이러닝 강좌를 수강하는 A대 학교 3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 구결과, 과제가치는 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부적으로, 학업열의에는 정적으로 영향 을 미쳤다. 또한 스트레스는 학업소진에 정적으로, 학업열의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는 과제가치와 학업소진, 과제가치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매개효과 를 가졌다.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학업소진을 낮추고 학업열의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stress, academic burnout, and learning engagement in an e-learning co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students at A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ask value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impact on academic burnout. Second, task value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positively. Third, stres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academic burnout. Fourth, stress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negatively. Fifth, stress mediated between task value and academic burnout as well as task value and learning engagement. These findings offer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earning cour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