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among College Admission System,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on College Major,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원기(Cho, WonKee) 이수정(Lee, Soo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7호, 673~70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교육고용패널조사의 중3 코호트 중에서 4차 년도(2007년 조사, 당시 고3), 5차 년도(2008년 조사, 당시 대1), 6차 년도(2009년 조사, 당시 대2), 7차 년도(2010년 조사, 당시 대3), 8차 년도(2011년 조사, 당시 대4), 9차 년도(2012년 조사, 당시 대졸), 10차 년도(2013년 조사, 당시 대졸) 추적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부 중심전형 대 수능중심전형에 초점을 주어 대입전형 방식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부중심전 형 학생이 수능중심전형 학생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학생부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이 1학년 학업성취도에서는 떨어지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학생부중심전형의 전형 요소인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비변수가 유의한 값을 갖지 않는데 이는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의 2, 3, 4학년 누적 평균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없게 나타나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적 이외 의 요소를 중심으로 선발된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 선발 학생들의 대학교 학업성취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생부중심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수능중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학점 관리를 더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학생부 비교과 자료를 대입전형에 활용할 경우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조사 자료의 보완을 통해 심층적인 분석을 해 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ege admiss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school records an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by apply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ata of the 4th year (2007, 3rd grade in high school), the 5th year (2008, freshman in college), the 6th year (2009, sophomore), the 7the year (2010, junior), the 8th year (2011, senior), the 9th year (2012, graduator),and the 10th year (2013, graduator) among cohorts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of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ents of school records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hey gradually increas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except the first year in college. Second, no significant values are observed in the contrast variables that indicate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selected by curriculum records and students by non-curriculum si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cumulated academic achievements i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selected by non-curriculum records have the same academic achievements.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attitudes and motivation for their major studies should be reinforced.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tudies increases the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ir academic records and the class attitude is the key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