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눈모음부족형외사시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과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 비교

이용수 2

영문명
Comparison between Modifie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Augmented Unilateral Recession-resection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Exotropia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민환(Min Hwan Kim) 송석현(Seok Hyeon Song) 염혜리(Hae Ri Yum)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60~66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눈모음부족형 간헐외사시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과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눈모음부족형 간헐외사시로 진단 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 37명 중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을 시행한 13명을 b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BLR) 군으로,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24명을 unilateral recession-resection(R&R) 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수술 성공은 수술 후 12개월째 측정한 근거리와 원거리 사시각이 모두 10PD 이내이며 근-원거리 사시각 차이도 10PD 이내인 경우로 정하였다. 결과: 수술 전 평균 사시각은 눈가림검사 후 BLR 군 원거리 사시각 29.9 ± 8.4PD, 근거리 사시각 42.3 ± 9.7PD, 근-원거리 사시각 차이 12.5 ± 3.2PD, R&R 군 각각 26.7 ± 5.8PD, 41.5 ± 7.4PD, 14.8 ± 4.3PD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35, p=0.987, p=0.123). 수술 후 12개월째 경과관찰 시 BLR 군 원거리 사시각 3.8 ± 5.1PD, 근거리 사시각 4.9 ± 6.1PD, 근-원거리 사시각 차이 2.9 ± 5.9PD, R&R 군 각각 4.7 ± 6.1PD, 7.9 ± 6.6PD, 3.7 ± 5.1PD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08, p=0.162, p=0.632). 수술 후 12개월째의 수술 성공률은 BLR 군 76.9%, R&R 군 70.8%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90). 결론: 눈모음부족형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은 증량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과 유사한 수술 성공률을 보였으며,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의 사시각과 근-원거리 사시각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between modified b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BLR) recession and augmented unilateral recession-resection (R&R) for the convergence insufficiency intermittent exotropia (IXT). Methods: 37 patients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IX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3 patients (underwent BLR recession) and 24 patients (underwent unilateral R&R). Success was defined as within 10 prism diopters (PD) at distance and near, and within 10 PD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t postoperative 12 months. Results: After the patch test, the preoperative distance deviation angle in the BLR group was 29.9 ± 8.4 PD, and the near deviation angle was 42.3 ± 9.7 P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12.5 ± 3.2 PD. In the R&R group, the preoperative distance deviation angle was 26.7 ± 5.8 PD, and the near deviation angle was 41.5 ± 7.4 P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14.8 ± 4.3 PD (p = 0.235, p = 0.987, and p = 0.123). At the 12-month follow-up in the BLR group, the distance angle was 3.8 ± 5.1 PD, and the near deviation angle was 4.9 ± 6.1 P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2.9 ± 5.9 PD. In the R&R group, the postoperative distance deviation angle was 4.7 ± 6.1 PD, and the near deviation angle was 7.9 ± 6.6 P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3.65 ± 5.1 PD (p = 0.708, p = 0.162, and p = 0.632, respectively). The surgical success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76.9%: BLR group and 70.8%: R&R group; p = 0.690). Conclusions: Modified BLR recession showed a similar surgical success rate to augmented unilateral R&R, and was effective in reducing both distance and near exodeviation, and in decreasing the difference between distance and near deviation in convergence insufficiency IXT.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환(Min Hwan Kim),송석현(Seok Hyeon Song),염혜리(Hae Ri Yum). (2018).눈모음부족형외사시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과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9 (1), 60-66

MLA

김민환(Min Hwan Kim),송석현(Seok Hyeon Song),염혜리(Hae Ri Yum). "눈모음부족형외사시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과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9.1(2018): 60-6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