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Effects and Complications between Conventional Trabeculectomy and Trabeculectomy with a Collagen Matrix Inser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기섭(Kee Sup Park) 김경남(Kyoung Nam Kim) 이성복(Sung Bok Lee) 김정열(Jung Yeul Kim) 김창식(Chang sik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50~5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국문 초록
목적: 콜라겐 기질(OlogenⓇ)을 삽입한 섬유주절제술과 콜라겐 기질을 삽입하지 않은 섬유주절제술의 수술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콜라겐 기질을 삽입한 실험군과 콜라겐 기질을 삽입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수술 후 1주, 2주, 1개월, 2개월, 4개월, 6개월, 12개월째에 안압검사와 세극등현미경검사를 포함한 안과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성공률과 합병증을 포함한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군 21안과 대조군 42안에서 수술 후 12개월째 수술성공률은 각각 76% (16안), 69% (29안)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54). Needling 및 5-fluorouracil 결막하 주사나 레이저공막편 봉합사 절제가 필요했던 경우는 실험군에서 3안(14.3%), 대조군에서 18안(42.9%)으로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23). 합병증은 전체 발생률에는 차이가 없었으나(실험군 23.8% vs. 대조군 19.0%, p=0.745)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 실험군에서는 테논낭포가 3안(14.3%)으로 가장 많았지만 대조군에서는 무혈관성 여과포가 3안(7.1%)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콜라겐 기질을 삽입한 섬유주절제술은 콜라겐 기질을 삽입하지 않은 섬유주절제술에 비해 대등한 수술성공률을 보였다. 하지만 술 후 요구되는 처치의 빈도는 유의하게 낮았으며, 발생하는 합병증도 다른 양상을 보여 수술방법의 선택과 경과관찰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between trabeculectomy with a collagen matrix (Ologen??) insertion and conventional trabeculectomy.
Methods: An ophthalmic examination, including tonometry and a slit lamp examination, was performed 1 week, 2 weeks, 1 month, 2 months, 4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glaucoma patients who underwent a trabeculectomy using Ologen?? (experimental group) or a conventional trabeculectomy (control group). Clinical features including success rate and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In 21 ey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42 eyes of the control group, the success rates were 76% and 69%, respectively (p = 0.554). Needling with subconjunctival 5-fluorouracil injection or laser suture lysis of the scleral flap was required in three eyes (14.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eyes (42.9%) in the control group (p = 0.023). The types of complications differed,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complication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23.8% vs. 19.0%, respectively; p = 0.745).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n encapsulated bleb, which occurred in three eyes (14.3%), whereas an avascular bleb occurred in three eyes (7.1%)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uccess rate of trabeculectomy with Ologen?? was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 trabeculectomy. However, postoperative interventions were less commonly required after trabeculectomy with Ologen??, and the complications differed between the groups. When choosing the surgical method and examining the postoperative condition, these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