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the Variability of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between Preperimetric Glaucoma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성인(Sung In Kim) 박혜영(Hae Young Lopilly Park) 박찬기(Chan Kee Park)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44~49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을 비교하여 표준자동시야검사 변동성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시야결손 전 녹내장 환자 37명의 37안(남 19안, 여 18안), 큰 시신경유두함몰이 없는 정상인 30명의 30안(남 14안, 여 16안, 대조군)을 대상으로 표준자동시야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시행하였다. 표준자동시야검사는 수평, 수직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비측, 상이측, 하비측, 하이측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구역별로 변동성을 구하였고,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을 정상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시야 검사의 변동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에서 증가하였다(p<0.001). 또한 시야 검사의 변동성과 안압변동과 시신경 섬유층 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구역별로 본 분석에서는 하이측을 제외한 모든 구역에서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시야 검사의 변동성이 증가하였다(p<0.05). 결론: 시야 검사의 변동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시야결손 전 녹내장에서 증가하였으며,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있는 경우 시야검사상 정상이어도 시야 검사의 변동성이 정상인보다 크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variability of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SAP) between patients with preperimetric glaucoma(PPG) and normal control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7 eye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roups: 30 eyes, normal controls; and 37 eyes, PPG. All subjects were examined with 24-2 Humphrey static perimetry. The visual field was divided into superonasal, superotemporal, inferonasal, and inferotemporal sectors. The variability of SAP was obtained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sensitivity points at each location. We compared the variability of SAP between the normal controls and PPG patients. Results: The variability of SAP was higher in the PPG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p < 0.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ility of SAP and intraocular pressure fluctuations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both p < 0.05). The variability of SAP in the PPG group was higher (p < 0.05) in all areas except the inferotemporal sector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variability of the SAP increased in PPG patient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even when the visual field test results were normal.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인(Sung In Kim),박혜영(Hae Young Lopilly Park),박찬기(Chan Kee Park). (2018).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9 (1), 44-49

MLA

김성인(Sung In Kim),박혜영(Hae Young Lopilly Park),박찬기(Chan Kee Park).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9.1(2018): 44-4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