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숙아망막병증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사진 촬영의 유용성

이용수 64

영문명
Smartphone Fundoscopy to Detect Retinopathy of Prematurit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이새미(Sae Mi Lee) 안성현(Seoung Hyun An) 박우찬(Woo Chan Park) 권윤형(Yoon Hyung Kwon)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31~36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미숙아망막병증 환자의 안저사진을 촬영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4년 3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미숙아망막병증 선별 검사를 시행한 13명, 26안을 대상으로 스마트폰(i-phone 5)과 30디옵터 렌즈(Volk optical Inc., Mentor, OH, USA)를 이용하여 안저 촬영을 시행하였다. 결과: 13명의 환아에서 성공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저 촬영을 시행할 수 있었다. 시신경 유두, 동맥, 정맥을 비롯한 망막 후극부를 촬영하였으며, 4명의 환아들에서는 레이저 치료 전의 추가징후(Plus sign)와 치료 후의 호전 정도를 구분, 기록할 수 있을 정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는 그림파일로 저장이 간편하여 병원 전산 의무 기록 시스템에 쉽게 저장할 수 있었다. 결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안저 촬영은 망막주변부를 기록하기 힘든 단점이 있으나, 고가의 촬영 장비가 없는 대다수의 병원에서 큰 추가 비용 없이 미숙아망막병증의 상태와 치료 전후의 안저 상태를 기록하는 데 유용하여 미숙아망막병증의 의무 기록에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undus images captured with a smartphone camera in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Methods: We took fundoscopic photographs of 13 premature infants (26 eyes) using a smartphone (an I-phone 5) camera fitted with a 30 D lens (Volk Optical Inc., Mentor, OH, USA) from March 2014 to September 2017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A hand-held smartphone camera with a 30 D lens was used to record the fundus in video mode. Fundus photographs were then captured from the video film. Results: Four premature infants were diagnosed with ROP and were successfully photographed via smartphone fundoscopy. The photographs showed the optic disc, retinal arteries and veins, and the posterior pole of the retina. The photographs were simply saved as image files and uploaded to our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Conclusions: Smartphone fundoscopy to document ROP does not capture the peripheral retina but can be useful in hospitals lacking expensive imaging equipment. The technique may be useful in terms of documentation, education, and telemedicine.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새미(Sae Mi Lee),안성현(Seoung Hyun An),박우찬(Woo Chan Park),권윤형(Yoon Hyung Kwon). (2018).미숙아망막병증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사진 촬영의 유용성. 대한안과학회지, 59 (1), 31-36

MLA

이새미(Sae Mi Lee),안성현(Seoung Hyun An),박우찬(Woo Chan Park),권윤형(Yoon Hyung Kwon). "미숙아망막병증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사진 촬영의 유용성." 대한안과학회지, 59.1(2018): 31-3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