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양한 실험동물에서의 마이봄샘 촬영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관찰

이용수 57

영문명
Meibography and Immunohistochemistric Structures in Animal Model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이현규(Hyun Kyu Lee) 우인호(In Ho Woo) 강보람(Bo ram Kang) 엄영섭(Young Sub Eom) 강수연(Su Yeon Kang) 황호식(Ho Sik Hwang) 김효명(Hyo Myung Kim) 송종석(Jong Suk Song)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9~1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동물실험에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생쥐, 쥐, 토끼의 마이봄샘 촬영 소견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를 비교하여 동물별 결과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대상과 방법: 각각 다섯 마리의, 검은색 및 흰색으로 구분한 생쥐, 쥐, 토끼의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마이봄샘을 촬영하였으며, 마이봄샘의 촬영은 동물실험용 마이봄샘촬영장비를 이용하였다. 촬영한 결과를 토대로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마이봄샘길이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이후 눈꺼풀조직을 적출하여 눈꺼풀의 정중앙부분을 가로면과 시상면으로 잘라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하여 조직학적 구조를 비교하였다. 또한 마이봄샘 중심관의 직경과 중심관과 주변 세엽세포를 포함한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동물 간의 마이봄샘촬영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검은색 토끼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마이봄샘길이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동물 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마이봄샘의 조직학적 구조는 세 동물 모두 관찰이 가능하였으나 생쥐에서 중심관의 상피세포가 분명히 관찰되지 않았다. 마이봄샘을 시상면으로 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로면으로 잘랐을 때 중심관의 크기와 주변의 세엽세포의 관계를 더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중심관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토끼, 쥐, 생쥐 순으로 크게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중심관 및 주변 세엽세포를 포함하여 측정한 면적은 토끼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고, 쥐, 생쥐순으로 크게 측정되었지만 쥐와 생쥐와의 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결과는 세 동물 모두에서 Cytokeratin 5 (CK 5)에서는 중심관의 상피세포와 주변 세엽세포, Cytokeratin 6 (CK 6)에서는 중심관의 상피세포만을 염색하는 특징이 있었다. 결론: 실험동물이 클수록 마이봄샘의 크기가 크고 실험동물의 색이 검은 경우 대조효과로 흰색 동물보다 마이봄샘의 관찰이 용이하여 마이봄샘의 정확한 촬영에는 검은색 토끼가 가장 적합하였다. 마이봄샘을 시상면으로 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로면으로 잘랐을 때 중심관의 크기와 주변의 세엽세포의 관계를 더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We evaluated differences in the meibographic findings and immunohistochemical structures of mice, rats, and rabbits(commonly used in animal experiments). Methods: Meibomian gland images were taken using an animal meibograph in mice, rats, and black and white rabbits (five of each animal).The size ratios of the upper and lower Meibomian glands were calculated. Afterm meibographic imaging, the eyes were cut sagittally or transversely and the histological structures were compared using hematoxylin-and-eosin (H&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addition, the diameters of the central ducts and the areas of ducted glands and the acini were compared using image analysis software. Results: The meibographic findings were clearer in black rabbits than in the other animals. The upper to lower length ratio of the glan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species. Histologically, no central duct epithelial cells were apparent in mice. The diameters of the central ducts and the areas of ducted glands and acini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mouse, rat, and rabbit. However, the Meibomian gland are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mice and rats.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central ductal epithelium and the Meibomian gland acini were stained for cytokeratin 5 (CK 5) but only the central ductal epithelium was stained for cytokeratin 6 (CK 6). Conclusions: The larger the experimental animal, the greater the sizes of the Meibomian gland ducts and acini. In addition, black rabbits yielded better gland images because contrast was enhanced. Compared with sagittal sections of Meibomian glands, transverse sections facilita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s of the central ducts and surrounding Meibomian gland acini.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규(Hyun Kyu Lee),우인호(In Ho Woo),강보람(Bo ram Kang),엄영섭(Young Sub Eom),강수연(Su Yeon Kang),황호식(Ho Sik Hwang),김효명(Hyo Myung Kim),송종석(Jong Suk Song). (2018).다양한 실험동물에서의 마이봄샘 촬영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관찰. 대한안과학회지, 59 (1), 9-16

MLA

이현규(Hyun Kyu Lee),우인호(In Ho Woo),강보람(Bo ram Kang),엄영섭(Young Sub Eom),강수연(Su Yeon Kang),황호식(Ho Sik Hwang),김효명(Hyo Myung Kim),송종석(Jong Suk Song). "다양한 실험동물에서의 마이봄샘 촬영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관찰." 대한안과학회지, 59.1(2018): 9-1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