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Intra-Industry Trade among Potential Economic Integrations in 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강보경(Bo-Kyung Kang)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2卷 第4號, 215~22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오늘날 세계 경제에서 다자주의와 지역주의는 주류적 흐름이다. GATT/WTO에 통보된 지역무역협정은 2017년 10월을 기준으로 455건에 이르며 대단히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경제통합을 통해 국가차원에서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 협상권 및 정치・외교적 우위를 선점하고자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경제의 3대 축인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지역경제통합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장시간에 걸쳐 시장중심적 통합을 이루고 있고 산업내 무역을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역내교역 및 투자 비중과 생산네트워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가 간 산업내 무역의 정도는 경제통합의 효과를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구조조정비용 절감을 가져온다.
높은 산업내 무역 형태를 보이고 있는 동아시아 경제통합모형 중 어떤 모형이 보다 적합한 모형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re are two main waves which are multilateralism and regionalism on the world economy. Nowadays, 455 Regional Trade Agreements (RTAs) are notified to the GATT/WTO as well as the number of RTA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speedily. All of countries have attempted to establish FTA in order to get a economic benefit, bargaining rights, and the politicaldiplomatic superiority. At this time, East Asia that is called the third pillar of world economy is focused on which pattern of FTA is going to establish as a regional trade agreemen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analyzes the intra-industry trade quotient of mai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and suggest the optimal scenario for East Asia.
Results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intra-industry trade quotient of ASEAN+3 FTA is much higher than CJK FTA. So the members of ASEAN+3 have higher industry connectivity as well as induce more economic integration effect.
Conclusions : countries in East Asia have built a great market-driven integration up such as intra-regional trade, inward-investment, and production network chain that is based on intra-industry trade. A degree of intra-industry trade between countrie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effect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Both countries which have a high degree of intra-industry trade can get more economic benefit than do not others. It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restructuring cost o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동아시아 지역경제통합체 모형
Ⅳ. 산업내 무역 지수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