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rts and Shipping Company’s Countermeasure and Expected effect of Introduction ESI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이진희(Jin-Hee Lee) 신학승(Hak-Sung Shin)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2卷 第4號,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항만은 국제무역과 투자를 증진시키며 도시화를 촉진시키면서 도시에서 중요한 위치적 요인이 되어 왔다. 항만도시는 항만활동과 지역경제 특히 항만과 투자와 고용과의 관계를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수출입을 촉진하면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만은 국가경제 정책에서 최우선 과제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특히 한국, 일본, 대만 등과 같은 수출주 도형 경제개발을 추진하는 국가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과 같은 동북아 국가에서 항만이 지역경제 특히 고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물류산업의 입지계수 또는 특화수준이 한・중・일 3국간에 차이가 있는지, 항만도시와 비항만도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항만물동량 기준의 대형항만과 소형항만 도시간에 특화수준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t-검정, 회귀분석법을 활용하여 항만과 도시경제의 고용집중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물류산업 특화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 고자 한다. 분석결과 항만을 포함한 물류산업의 입지계수와 제조업간에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물류산업의 고용면에서 항만도시는 비항만 도시에 비해 커다란 장점을 나타내고 있지 못하며, 추가적으로 항만도시의 고용 수준은 항만 요인보다는 도시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 In this study the existing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measures related to marine and port environmental standards are examined, and future marine environmental systems are presented. Ports and shipping compan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apply various environmental standards in a big framework of green shipping.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uses the literature research and policy report and article analyzes as to the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for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 shipping and port policy.
Result : The ESI(Environmental Ship Index) system of IAPH is a preemptive countermeasure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nforcement of pre-emptive environmental regulations. Since the international trends related to environmental regulation will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it is aimed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refecture in the new environmental regul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Conclusions : This study analyzes the ESI system as a suitable method for prot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The introduction of the ESI system will help both shipping companie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port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친환경 정책에 대한 국제적 동향
Ⅲ. 환경선박지수(ESI)의 일반적 고찰
Ⅳ. 환경선박지수의 도입과 시행 개선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