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ontent Statement Form in the Three to Five Year Ol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A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민영(Min young J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호, 127~1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의 교육내용을 대상으로 진술방 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 세부내용 총 86 개이며, 교육내용의 진술 원리(교육과학기술부, 2011)에 따라 내용(자료) 또는 행위 (행동)로 나누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의 총 86개 세부내용 중 중 약 77%가 활동중심 서술동사 진술방식 유형을 띄고 있었다. 둘째, 해당 세부내용을 토대로 각 진술방식 유형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현재 의사소통 영역 세부내용 진술유형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활동중심 서술동사 진술방식이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가늠할 수 있었다. 셋째, 연령별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 세부내용 진술방식 유형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활동중심 서술동사 진술방식의 비중이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 질수록 내용중심 및 수행중심 서술동사 진술방식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의 교육내용 진술방식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교육내용 진술방식 유혀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특히 활동중심 서술동사 진술방식에 있어서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내용 측면의 진술 및 해당 활동에의 목표, 수준, 범위에 대한 진술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ement form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three to five year old Nuri curriculum for appropriateness. Research data of was 86 statements on the ‘Communication’ area of 3-5 year olds Nuri curriculum, the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content and action according to the statement forms of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ten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66(77%) activity-oriented statement forms out of total 86 educational content in ‘communication’ area. Second, each statement forms were carefully reviewed and found that the statements tend to indicate lack of clarity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activity-oriented statements based on the review. Third, there were a trend in statements forms by age of children. The lower the age, the most of educational content were stated in activity based. The higher the age, the content based and performance-ability based forms of statements increased gradually. Based on this result, the trend of statement form in commucation area was identified. Moreover it is requested that more necessary information be added to the statements on activity based statements in a way of meanings to make more clear sen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