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erceptions of media reports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숙(Lee, JinSuk) 김은주(Kim, EunJu) 김대현(Kim, Dae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호, 239~2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언론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2013년 10월 24일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의 주요 일간지에 실린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키워드빈도 분석에서는 수학, 역사, 교과서, 국정화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이과통 합형’ 교육과정에 대한 거시적인 안목에서의 관심이 점차 미시적이고 실제적인 관심 으로 대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과서 개편’과 관련하여서는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 논란이 특히 부각되었으며, ‘대입제도 개편’ 관련 쟁점들에 대한 경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고시 준비 시기’에는 대부분 부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점차 ‘교육과정 적용 기간’으로 갈수록 긍정적인 키워드가 월등히 많아지고, 그 빈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객관적인 시각을 통한 여론형성의 필요성,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될 수 있는 쟁점분석과 여론의 경향성 파악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media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r newspaper artic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the frequency rate of mathematics, history, textbooks, and nationalization was high. Seco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interest in the macroscopic view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was gradually replaced by the micro and practical interest. And regarding to the textbook reorganization , controversy over the nationalization of history textbooks was especially emphasized, and there was a tendency related to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ird, most of the negative responses were in the ‘preparation period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 frequency of positive keyword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period of curriculum application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ed for public opinion through objective perspectives, the analysis of issue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importance of public opinion tendenc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개정 교육과정의 시기별 구분과 언어네트워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