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Healing Riding Program for Improving Social Skill of School Maladjustment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형근(Yu, Hyung-Keun) 김소아(Kim, So-A) 전인식(Jeon, In-Sik) 박선하(Park, Seon-H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호, 679~6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힐링승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 22명은 실험집단으로, 22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7회기를 구안하여, 주 2회씩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검사 도구는 Gresham과 Elliott(1990)의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SRS)를 문성원(2003)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혼합변 량분석으로 처리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강습생의 경험보고서와 지도자의 관찰 내용, 인솔교사의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힐링승마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회적 기술은 통제집단의 사회적 기술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을 제외한 협동성, 주장성, 공감능력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강습생의 경험보고서와 지도자의 관찰, 인솔교사의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이 사회적 기술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해 집단상담과 승마를 통합한 힐링승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적 기술 향상의 도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healing riding program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chool maladjustment adolescents and 22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22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Park(1995), the program was conducted seven times, twice a week.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test,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 developed by Gresham and Elliott(1990)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mixed ANOVA.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experiences reports of the group members, the observations of the leader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of the teache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healing rid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social skills.
Second, according to sub factors of social skill,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operative, assertiveness and empathy ability except self–contro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reports of the group members, the observations of the leader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conducted by th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helped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the healing riding program which integrates the advantages of group counseling and horse riding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프로그램 구안
Ⅳ.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