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 of ‘Moving Objet’ Displayed in the Contemporary Ceramic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조용규(Cho, Yong-kyu) 이명순(Lee, Myung-soo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4권,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현대도예에서 1990년대부터 출현했던 다양화 시대는 매체와 재료의 사용에서 종전과는 달리 장르와 경계의 해체, 재구성을 가져왔다. 결국에는 이질적인 기능이나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내는 혼성교배로도 나타났는데, 그 유형 중 하나가 무빙 오브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빙 오브제’ 개념과 특성을 프랭크 포퍼와 조지 릭키의 주장을 토대로 고찰 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와 관련된 현대도예의 현상들을 시각적 ‘무빙 오브제’, 매체 결합적 ‘무빙 오브제’, 참여적 ‘무빙 오브제’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현대도예에서 이러한 ‘무빙 오브제’ 유형은 현대인들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경향이나 장르로 정착될 뿐만 아니라 발전 가능성도 감지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e contemporary ceramics, the era of variety that began to emerge from the 1990s introduced a deconstruction or recomposition of genre and boundary, which was a phenomenon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in the usage of medium and material. It was finally appeared as a kind of hybridization to make a new type by combining with different function or element, one of which is moving objet.
Thus, in this study, I studi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moving objet according to the theories by Frank Popper and George Rickie. And furthermore, I divided and analyzed the phenomenon of the contemporary ceramics into three types, namely, Visual Moving Objet,Medium-combining Moving Objet, Participatory Moving Objet.
Types of moving objet likewise in the contemporary ceramics is recognized to be settled down or developed into a new trend or genre as the degree of modern people’s preference increases, for which I anticipate more study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무빙’의 정의 및 특성
1. ‘무빙’의 정의
2. ‘무빙’의 특성
Ⅲ. 현대도예와 ‘무빙 오브제’
1. 시각적 ‘무빙 오브제’의 경향
2. 매체 결합적 ‘무빙 오브제’의 경향
3. 참여적 ‘무빙 오브제’의 경향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