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ualitative Study on Adaptive Proces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of Chungbuk to Facilitat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최수경(Su Gyeong Choi)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2권 제2호, 221~25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의 환경교육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사례로 환경교육단체가 각각 도생하고 적응해가는 과정을 충북지역 환경교육네트워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단위 환경교육네트워크의 발전을 저해하는 쟁점과 방안 그리고 실천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충북의 역대 환경교육네트워크 간사단체 사무국장 두 명을 심층 면담하여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하는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충북환경교육네트워크는 환경교육진흥법 이후 환경교육 활성화의 기회를 맞이하였으나, 네트워크 법인화라는 쟁점에 이견을 갖게 되고, 연대의 약화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 간의 관계 갈등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법인화가 대안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한 논의, 멤버십의 강화, 합의의 틀 마련, 소통, 연대원칙 확인이라는 노력을 하고자 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교육진흥법의 효과적 활동, 충북 환경교육네트워크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s staying afloat and getting adjusted, by looking in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of Chungbuk. With the review, the study is to discuss issues getting in the way of development of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and suggest practical solutions to tackle the situation. For the study, in-depth person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secretary generals of the institutions on environmental network of Chungbuk.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of study, Chungbuk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had a chance to promot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taking effect. But opinions were mixed on incorporation of the network and this undermined solidarity.
Also conflicts were emerging and recognized among the partie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To overcome the situation, extensive discussions were made to see whether incorpor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s and efforts were made to strengthen the membership, build framework to reach consensus, bett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uphold the principle of solidarity. Given this backdrop, the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with regard to its utility and relevance, and suggest the vision of Chungbuk environmental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