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Axial Length, Keratometry, and Measured White-to-white Using Different Devic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나미리(Mi ri Na) 이현수(Hyun Soo Lee) 도상희(Sang Hee Doh) 정성근(Sung Kun Ch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12, 1325~133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목적: 여러 가지 기기들을 이용하여 안축장, 각막곡률치, 그리고 각막윤부직경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일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 전 환자 56명 64안을 대상으로 Galilei™, Lenstar??, A-scan을 이용해 안축장을 측정, Galilei™, Lenstar??, ARK를 이용해 각막곡률치를 측정, 74명 86안을 대상으로 Galilei™, Lenstar?潁? 이용하여 각막윤부직경을 측정하고 분석했다.
결과: Galilei™, Lenstar??, A-scan을 이용해 측정한 안축장은 측정치 간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11). 95% 일치도 범위는 Lenstar?玲? A-scan이 0.22 mm로 가장 작았다. Galilei™, Lenstar??, ARK를 이용하여 측정한 각막곡률치는 측정치 간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57). 95% 일치도 범위는 Lenstar?玲? ARK에서 1.83D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Galilei™, Lenstar?潁? 이용하여 측정한 각막윤부직경 역시 측정치 간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1). 95% 일치도 범위는 2.20 mm였다.
결론: 여러 가지 기기들을 이용하여 측정한 안축장, 각막곡률치, 각막윤부직경은 상관성이 높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일치도는 모두 높지 않아 기기들 간에 상호동등하게 호환해서 사용하는 것은 주의를 기해야 하며, 신중한 해석을 거쳐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accuracy and clinical usefulness of various devices by measuring axial length, keratometry, and white-to-white.
Methods: In 64 eyes of 56 cataract patients, axial length was measured using Galilei™, Lenstar??, and A-scans, and keratometry was measured using Galilei™, Lenstar??, and ARK. In 86 eyes of 74 cataract patients, white-to-white was measured using Galilei™ and Lenstar??.
Results: The average axial length measurements using Galilei™, Lenstar??, and A-sca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001), but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611). The 95% agreement range was the smallest at 0.22 mm for the Lenstar?? and A-scans. The average mean K using Galilei™, Lenstar??, and ARK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001), but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657). The 95% agreement range was relatively small at 1.83 D for Lenstar?? and ARK. The average white-to-white using Galilei™ and Lensta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001),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1). The 95% agreement range was 2.20 mm.
Conclusions: Axial length, keratometry, and white-to-white measured by different devices were highly correlated and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however, agreement was low between measurements.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consider these findings when using them equally.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