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Postoperative Refractive Outcomes after Phacotrabeculectomy and Phacoemulsification Subsequent to Trabeculectom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동은(Dong Eun Lee) 김정림(Jung Lim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12, 1349~135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목적: 섬유주절제술과 백내장수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와 섬유주절제술 후 백내장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백내장수술 단독으로 시행하는 경우에서 굴절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섬유주절제술과 백내장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 47명, 섬유주절제술 후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환자 33명, 백내장수술만을 시행한 환자 4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세 군에서 나이, 성별, 술 전 안압, 안축장, 목표굴절력, 술 후 1주와 2개월의 굴절력, 굴절력과 목표굴절력의 차이, 굴절력과 목표굴절력의 차이 절대값을 비교하였다. 2개월째 굴절력과 목표굴절력의 차이는 오차의 정도에 따라 나누어 근시성 혹은 원시성 경향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세 군의 비교에서 나이, 성별, 안축장, 술 후 1주와 2개월째 굴절력, 굴절력과 목표굴절력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술 후 1주와 2개월째 굴절력과 목표굴절력 차이의 절대값, 술 전 안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0.004, <0.001). 2개월째 굴절력 목표굴절력 차이가 ±1.0D 이상 차이를 보이는 비율은 대조군에서 1안(2%)이었으나 병합군과 연속군에서 각각 12안(25.5%), 6안(18.2%)이었다.
결론: 섬유주절제술과 함께 백내장수술을 시행할 경우 백내장수술 단독으로 시행하는 경우에 비해 술 후 예측 굴절력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여 인공수정체 도수 결정에 있어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refractive outcomes in patients following either combined or sequential trabeculectomy and phacoemulsification.
Methods: Evaluation of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one of three treatment combinations on their eyes including combined phaco-trabeculectomy (47 eyes), a sequential phacoemulsification procedure, at least 3 months following trabeculectomy (33 eyes), and phacoemulsification alone (48 eye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x, axial length, the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SE) and refractive prediction error (RPE) at 1 week and 2 months post procedur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pre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predicted SE, and the mean absolute error (MAE) at 1 week and 2 months post procedure. The proportions of cases with a RPE > 1.0 diopter (D) or <-1.0 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MAE at 1 week and 2 months after surgery. With respect to the predicted SE, phacotrabeculectomy seems to be less accurate than the phacoemulsification alone. Therefore,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selection of the intraocular lens power.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